
급여제한여부 조회제도 건강보험 가입자 등이 국민건강보험법상 급여제한 사유에 해당하거나, 제 3자의 행위로 인한 보험사고 행위에 대해 제3자로부터 손해배상을 받은 경우 건강보험 적용 여부에 대해 공단의 결정에 따르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목적 요양기관이 임의로 판단해 가입자 등의 보험급여를 제한하는 사례가 없도록 하기 위해 가입자의 수급권을 보호하고 보험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요양기관 건강보험의 적용여부를 자의적으로 판단하면 안되고, 해당 대상건 진료시에 반드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건강보험 적용여부를 조회해야 합니다. 건강보험공단 수신자의 상병(부상) 발생원인을 조사해 급여제한 사유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 후 건강보험 적용여부를 결정하여 요양기관 및 가입자에게 회신해야 합니다. 급여제한여부 조회 절차..

초음파는 해당 경우에만 건강보험 적용 가능하며, 아닌 경우에는 비급여 합니다. 급여대상 및 범위 가. 기본, 진단, 특수 초음파 1)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희귀난치성 질환 가) 「본인 일부 부담금 산정 특례에 관한 기준」에 따른 산정 특례 대상자 : 해당 산정 특례 적용 기간에 실시한 경우 나) 산정 특례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 : 해당 산정 특례 질환이 의심되어 실시한 경우(1회 인정) 2) 신생아 중환자실 환자 :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기간에 실시한 경우 나. 임산부 초음파 1) 산전 진찰을 목적으로 아래와 같이 시행하는 경우에 인정하며, 다 태아의 경우 제2 태아부터는 소정 점수의 50%를 산정함. (★별표항 제외) ▶ 행위명 인정 주 수 인정 횟수 ⊙ 제1 삼분기 : 일반 임신 13주 이하 ..

초음파 건강보험 하복부? 비뇨기? 하복부 초음파 중에 충수(맹장), 소장, 대장, 서혜부, 직장, 항문을 하복부라 칭하며, 비뇨기는 신장, 부신, 방광 등을 포함합니다. [초음파 검사의 급여기준]에서 정하는 비급여 대상이라도 의사의 의학적 판단에 따라서 충수와 소장, 대장, 서혜부, 직장, 항문, 신장, 부신, 방광에 질환이 진단되거나 의심되어서 의사가 직접 시행한 경우에는 건강보험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의사가 같은 공간에서 방사선사의 촬영하는 영상을 동시에 보며 실시간으로 진단하고 지도하는 경우에도 포함됩니다. 건강보험이 되는 적용 요건 하복부, 비뇨기 초음파는 각 해부학적 부위의 영상을 촬영하며, 검사 의가 판독소견서를 작성하고 보관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 촬영할 부위의 표준 영상 범위가 ..

초음파 건강보험이 된다구요?? 일단! 간, 담낭, 담도, 췌장,비장을 검사할 수 있는 '상복부 초음파' 건강보험 적용 기준 설명드리겠습니다. 1. 복부초음파가 건강보험??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으실 것 같아서 자료를 찾아왔습니다. 건강보험 인정기준을 말씀드려요. 원래는 몇 년 전 까지만 해도 초음파는 건강보험이 안 된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복부 초음파가 건강보험이 되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상복부 초음파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상복부는 간, 담낭, 담도, 비장, 췌장을 일컫는 말입니다. 한국은 소주 소비량이 어마어마하신 것을 알고 계시죠? 그 때문에 간암이나 간경변, 지방간 등 간에 대한 질병이 많이 발병하고 있습니다. 담낭과 담도 또한 소화기관이 안 좋은 분들이 위, 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