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의 암중에서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이 최근 10여 년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췌장암, 유방암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유전 등 여러 위험요인이 있지만, 고지방 식사도 관련이 깊습니다. 육류에 많은 포화지방 섭취가 늘어나게 되면 췌장암, 유방암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여성의 췌장암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여성의 암, 췌장암의 증가? 여성의 암 발생 순위를 확인해 보면 2019년에는 위암, 폐암, 간암에서 2020년은 폐암, 위암, 췌장암의 순으로 순위가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여성 췌장암 환자가 증가 추세에 있다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남자는 2019년 대비 전립선암이 4위에서 3위로 상승했으며, 폐암-위암-전립선암-대장암-간암-갑상선암 순이라고 합니다. 위..

2022년 12월 국가암등록통계 발표를 보면 간암 신규환자 중 여성이 4002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내년 4천 명이 넘는 여성들이 간암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2019년에는 위암, 폐암에 이어 간암이 여성 암 발생순위의 3위였다고 합니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술을 덜 마시는 편인데, 왜 간암이 많을까요? 간암은 사망률도 높습니다. 통계청의 '2021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간암 사망률은 폐암에 이어 2위라고 합니다. 술을 안 마신다고 방심하기 쉬운 여성들의 간암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간암의 낮은 생존율 국가암등록통계에 의하면 간암 환자는 생존율이 낮은 편으로 나옵니다. 완치를 생각하는 5년 상대 생존율이 췌장암은 15.2%, 담낭-담도암은 29%, 폐암 36.8%에 이어 간암은 38..

※ 산정특례 제도란? 진료비 본인부담이 높은 암 등 중증질환자와 희귀 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에게 본인부담률을 경감해 주는 제도입니다. 산정특례는 종류가 많습니다. 크게 분류를 나눠보면 암, 뇌질환, 심장질환, 결핵, 희귀질환, 치매, 화상 등이 있습니다. 건강보험공단에서 이 질환으로 진료 본 사람들에게 진료비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제도 입니다.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암으로 예시를 해 설명을 해보자면, 암은 중증등록환자입니다. 진료를 받고 검사 후에 암 진단을 받으셨다면, 병원에서 산정특례신청서를 작성하라고 할 것입니다. 환자분에게 해가 가는 것은 없으며 건강보험공단에 암환자로 등록되는 것입니다. 암을 등록하게 되면 진단 받은 암만 건강보험 되는 항목의 본인부담 5%로만 수납하게 됩니다. 비급여,..

◈ '본인부담상한제' - 과도한 의료비로 인해 가계 부담을 덜어 드리기 위해서 환자가 부담한 건강보험 본인 부담금이 개인별 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금액을 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 단, 비급여, 선별급여, 전액본인부담, 임플란트, 상급병실(2-3인실) 입원료, 추나요법, 상급종합병원 경증질환 외래 재진 본인일부부담금 등은 제외합니다. 1) 적용방법 - 사전급여 : 동일 요양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발생한 당해 본인부담금 총액이 2022년 기준 598만원을 넘는 경우에 환자는 598만원까지만 부담하고, 그 넘는 금액은 병·의원에서 공단으로 청구합니다. - 사후급여 : 당해 연도에 환자가 여러 병·의원(약국포함)에서 진료를 받고 부담한 연간 본인부담금을 다음년도 8월 말경에 최종 합산해서..